권두언
그림자, 이항대립 그리고 문화
한국문화원연합회 경기도지회장 정상종
한국문화원연합회 경기도지회가 이전에 발간되어 왔던 소식지 차원의 발간물의 성격을 탈피하고, <경기문화저널(이하 저널)>이라는 이름으로 발간을 시작한 지 2년의 시간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저널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경기도 31개 시, 군 문화원의 다양한 문화사업을 분석하고, 그것이 경기도 차원의 문화정책과의 접점을 발견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경기도지회 차원에서는 시대의 흐름에 걸맞고, 그것에 부응한 다양한 사업을 기획, 전개해 왔으며, 끊임없는 정책적 고민을 통해 새로운 문화적 대안의 길을 모색해 왔습니다.
‘문화원이 무엇을 하는 곳이냐’는 질문을 끊임없이 받습니다. 이 질문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문화원은 지역의 정체성을 살릴 뿐만 아니라, 지역의 역사적 맥락을 잡아내는 중심에 있기에 사업의 성격이 항상 ‘열려’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열려'있다는 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뜻 합니다. 지역의 역사와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삶의 방식에 천착하는 것이 때로는 나이 들어 보이고 구식으로 보인다고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전통과 역사를 지나간 과거만으로 생각하는 것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반대합니다.
지나온 세월 속에서 때로는 암울하기도 했고, 때로는 가슴 벅찬 순간들이 존재하기도 했습니다. 그런 순간순간이 모여 지금, 즉 현재가 되어 있고, 지금의 순간순간들이 모여 앞으로의 미래가 될 것입니다.
세계적인 사회학자 뒤르켐은 문화를 ‘많은 상징들과 기호들이 이항대립으로 구성된 상징체계이다'라고 정의했습니다.
아름다움과 추함, 깨끗함과 더러움, 사랑과 증오, 좋음과 나쁨, 기쁨과 슬픔이 인간의 감정 구조와 가치체계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나이든 어르신들이 살아오면서 겪었던 끊임없는 굴곡의 역사, 즉 문화의 이항대립이 지금의 문화를 형성한 기본적 구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문화적 원리와 구조가 현재의 삶의 굴곡을 경험하고 있는 젊은 세대와 이항대립 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지혜롭게 긍정적 방향으로 소통하고 새로운 문화의 원리와 구조로 만들어 나가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리고 어쩌면 바로 그 중심에 문화원이 존재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서로 다른 가치와 대립한다는 것은 고통이 수반되는 일입니다. 과거의 가치만이 옳다고 주장해서도, 현재의 시대적 흐름이 옳다고만 주장해서도 안 되는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과 인정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끊임없이 모색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때문에 ‘열려'있는 사업이 되어야 합니다.
<경기문화저널>은 단순히 경기도 31개 시,군 문화원의 사업을 소개하는 소식지가 아닙니다. 끊임없는 자기반성과 현재 사업을 재점검하여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다양한 정책 제안을 통해 현재 펼쳐지고 있는 사업의 현재적 의미를 끊임없이 고찰하고, 시대의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새로운 대안적 문화 사업을 위한 방법론적 고민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문화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저널을 통해 개진되고, 다양한 문제제기를 담는 거대한 그릇으로, 그리고 끊임없는 대안적 성찰이 담긴 진정한 의미의 '저널'이 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겠습니다.
세상의 어둠을 밝히는 지혜를 위하여 건배!
'경기문화저널 > 제4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문화원 염상덕 원장을 만나다 (0) | 2014.01.08 |
---|---|
두 번째 이야기, 가평문화원의 문화가중계 (0) | 2014.01.08 |
첫 번째 이야기, ‘한국문화원연합회 경기도지회’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보다 (0) | 2014.01.08 |
경계를 넘어 관객을 즐겁게 하는 공연예술 (0) | 2014.01.08 |
미래의 전통문화와 만나기 (0) | 2014.01.08 |
그림자, 이항대립 그리고 문화 (0) | 2014.01.08 |